2021 . 12 . 12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가지와 가지 사이가 넓게 분지된다. 표면에 흰색 수층이 군데군데 노출되며 작은 비늘 소엽이 드물게 발달한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며, 자병은 두 갈래로 분지되고 끝이 뽀쪽하며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자낭반은 드물게 볼 수 있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넓은잎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6)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지의체는 녹색 또는 올리브녹색을 띤다. 지의체의 기본 엽체는 크고 넓게 잘 발달한다. 자병은 두 갈래나 여러 갈래로 분지되며, 끝이 뽀쪽한것, 컵 모양을 하고 있는것, 컵 끝에 갈색 분생자각이 있는 것 등 다양하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두 갈래나 여러 갈래로 분지되며, 끝이 뽀쪽하거나 컵 모양을 한다. 컵 끝에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 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49) 해발 600m 이상의 산림지역에서 덤불처럼 뭉쳐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지의체는 황록색을 띠며 토양이나 이끼 위에서 주로 생장한다. 지의체 끝은 밝은 갈색이 물든 것처럼 보인다."
"착생기물은 토양이다."
"지의체의 기본 엽체는 거의 볼 수 없으며 가늘고 긴 자병만 있다. 자병은 피층이 발달하지 않아 군데군데 흰색 반점이 노출되며, 불규칙적으로 분지한다."
~ 덤불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3) 해발 1,000m 이상고산지대의 이끼, 바위 및 토양 위에 넓게 퍼져 덤불모양으로 군집을 이루어 자라는 대형 수지상지의류다. 회녹색을 띠며 자병은 잘 분지된다."
"착생기물은 바위나 토양이다."
"자병은 진한 회색이고 물갈퀴 모양으로 분지된다. 속은 비어 있다."
~ 계속 관찰을 하고보니 사슴지의와 구분은 자병 끝의 물갈퀴 모양으로 구분하고 있다 ..
~ 점붉은열매지의 ≫ ~ 꼬마붉은열매지의 ~
~ 왼편의 "갈래뿔사슴지의" 와 오른편의 "점붉은열매지의" ..
~ 좀막대꽃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0) 저지대 산림지역의 바위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다. 지의체는 녹색 또는 연한녹색을 띤다. 기본엽체가 잘 발달하여 대형이다. 비늘소엽 위에 일자형 자병이 발달한다."
"착생기물은 바위나 토양이다."
"자병의 끝은 뾰쪽하며 드물게 컵을 형성한다. 자병 전체에 가루모양의 분아가 풍부하게 발달한다."
'꽃과 풍경 그리고 사는 이야기 대화 > 지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라 류 ≫ 원형끈지의 류 (0) | 2022.02.07 |
---|---|
문자지의 외 지의류와 이끼 (0) | 2021.12.15 |
큰키나무지의, 중키산나무지의 (0) | 2021.12.14 |
기와지의 외 엽상지의 류 (0) | 2021.12.14 |
비늘나무지의 (0) | 2021.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