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지상지의 류38

산호붉은열매지의 외 수지상지의 류 2025 . 4 . 8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해남 대박이 동네 ..~ 산호붉은열매지의 ~~ 점붉은열매지의 ~~ 좀막대꽃지의 ~~ 중키산나무지의 ~~ 이끼위숯별이끼 ~~ 탱자나무지의 류 ~ 2025. 4. 19.
꼬마붉은열매지의 외 2025 . 4 . 02 .. 완도 수목원 ..~ 꼬마붉은열매지의 ~~ 이끼 ~~ 머위(모굿대) ~~ 수호초 ~ 2025. 4. 5.
산호붉은열매지의 외 2025 . 03 . 11 ~ 24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산호붉은열매지의 ~"(지의류 생태도감 P58) 해발 1,000~1,800m 사이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 위에 서식하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노란회색 또는 연두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비늘 소엽 형태로 소엽들은 위로 들렸다. 자병의 선단부는 작은 컵모양이며, 컵 가장자리를 따라 붉은색 자낭반들이 있다.""착생 기물은 암석과 토양이다."~ 꼬마붉은열매지의 ~ 2025. 3. 25.
산나무지의 류 2025 . 03 . 11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비늘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51) 해발 400m 이상 산림지대의 바위에 착생하여 사는 중소형 수지상지의류로 회색을 띤다. 가자기병의 길이는 2cm 내외이며 기본 엽체가 있다. 가자기병에는 비늘 모양의 짧은 가지들이 잘 발달하며, 선단부에는 갈색 또는 검은색 자낭반이 있다. 가자기병의 하단부에는 회색 또는 검은색 두상체가 있다.""착생기물은 바위다.""▶외형적으로 산나무지의(S.japonicum)와 유사하지만 가자기병에 붙은 짧은 가지가 비늘소엽인 것이 다르다."~ 산나무지의 ~"(지의류 생태도감 P148)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나무지의 종이다. 해안가 저지대부터 1,600m 고산지대까지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소형 .. 2025. 3. 18.
덤불사슴지의 2025 . 03 . 11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덤불사슴지의 ~"(지의류 생태도감 P63) 해발 1,000m 이상고산지대의 이끼, 바위 및 토양 위에 넓게 퍼져 덤불모양으로 군집을 이루어 자라는 대형 수지상지의류다. 회녹색을 띠며 자병은 잘 분지된다.""착생기물은 바위나 토양이다.""자병은 진한 회색이고 물갈퀴 모양으로 분지된다. 속은 비어 있다." 2025. 3. 18.
산나무지의 류 2024 . 10 . 1 . 한라산 영실 ..~ 중키산나무지의 ~~ 산나무지의 ~ ~ 큰키나무지의 ~~ 사슴지의 류 ~~ 꼬리사슴지의 같은데 자신이 없다 .. 2024. 10. 9.
별지네지의 외 2024 . 6 . 23 .. 진도 바닷가 .."(지의류 생태도감 P218) 섬지역 바닷가의 바위에 밀착하여 자라는 소형 엽상지의류로 회녹색을 띤다.소엽은 두 갈래나 불규칙하게 분지되고 분아와 열아는 거의 없다. 아랫면은 밝은 갈색이며, 가근이 있다. 컵모양의 자낭반이 많이 보이며, 자기반은 검은색이다.""착생기물은 바위다." ~ 여태 만난 별지네지의는 하얀색이었는데  "붉은녹꽃잎지의 류"라 생각하며 담앗는데색상이 다양하게 변하는모습이 특이하다..~ 작은돌기지네지의 ~"(지의류 생태도감 P208) 저지대부터 고산지대까지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수피나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원형의 중소형 엽상지의류로 녹회색을 띤다. 소엽은 불규칙하게 분지되며 가장자리에 소열편이 밀생해 자란다. 아랫면은 검정색이고 .. 2024. 6. 29.
꼬마붉은열매지의 , 산호붉은열매지의 외 2024 . 3 . 10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꼬마붉은열매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7)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수피에 서식하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진한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잘 발달하며 분아가 있다. 짧은 원통형의 곤봉모양의 자병 끝에 붉은색 자낭반이 많이 보인다." "착생기물은 수피와 바위다." ~ 산호붉은열매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8) 해발 1,000~1,800m 사이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 위에 서식하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노란회색 또는 연두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비늘 소엽 형태로 소엽들은 위로 들렸다. 자병의 선단부는 작은 컵모양이며, 컵 가장자리를 따라 붉은색 자낭반들이 있다." "착생 기물은 암석과 토양이다." ~.. 2024. 4. 3.
갈래뿔사슴지의 , 넓은잎사슴지의 2024 . 3 . 10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넓은잎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6)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위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지의체는 녹색 또는 올리브녹색을 띤다. 지의체와 기본 엽체는 크고 넓게 잘 발달한다. 자병은 두 갈래나 여러 갈래로 분지 되며, 끝.. 2024. 4. 3.
갈래뿔 , 꼬리, 넓은잎, 덤불, 작은연꽃사슴지의 2024 . 3 . 2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 2024. 3. 12.
긴뿌리손톱지의 , 산나무지의 외 2024 . 2 . 3 .. 제주 천아계곡 .. ~ 긴뿌리손톱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80)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나무에 주로 이끼와 더불어 자라는 남조류 공생 중대형 엽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연한갈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검은 회색을 띤다. 지의체 표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말안장 모양의 자낭반이 엽체 선단부에 발달한다. 아랫면에 뚜렷한 망상구조의 맥들이 길게 잘 발달한다." "착생기물은 수피와 바위다." " 자낭반은 말안장 모양으로 엽체 선단부에 발달한다." " 아랫면에는 진한 회색의 망상구조 맥들이 넓게 발달한다. 붓처럼 뭉친 긴 가근들이 잘 발달한다." ~ 비가 내려 가근을 보기 위해 하늘을 볼수 없어 ... ~ 산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48)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나.. 2024. 2. 5.
갈래뿔사슴지의 외 수지상지의 류 2024 . 1 . 21 .. 진도 접도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가지와 가지 사이가 넓게 분지된다. 표면에 흰색 수층이 군데군데 노출되며 작은 비늘 소엽이 드물게 발달한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