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지상지의 류38

꼬마붉은열매지의,점붉은열매지의,작은깔대기지의 2021 . 7 . 11 .. 노고단 .. ~ 꼬마붉은열매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7)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수피에 서식하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진한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잘 발달하며 분아가 있다. 짧은 원통형의 곤봉모양의 자병 끝에 붉은색 자낭반이 많이 보인다." "착생기물은 수피와 바위다." "자병은 분지되지 않은 원통형 곤봉모양으로 짧다(2cm 이하). 표면에 가루 모양의 분아가 잘 발달한다." "지의체의 기본엽체는 작은편이며 잘 발달한다. 엽체의 아랫면 가장자리에 분아가 있다." ~ 점붉은열매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3) 해발 500m 이상 중고산지대의 수피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황록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올리브색을 띤.. 2021. 7. 17.
바위꽃탱자나무지의 2021 . 6 . 9 .. 송지 .. ~ 바위꽃탱자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46) 저지대부터 해발1,600m 고지대까지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가장 흔한 종이다.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연한 회녹색을 띤다. 동일 제상체에서 분지한 여러 가지가 함께 뭉쳐 자라며 길이는 2cm 내외다. 열편의 폭은 비교적 넓은 편으로 지의체의 선단부에 분아가 발달한다." "착생 기물은 바위다." ~ 서로 다른 개체들이 섞여져 있어서 구분은 되는데 모습들이 기존에 알고 지내던 것과 달라서 머리가 지끈... ~ 높은봉우리탱자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38) 해안가 저지대에서 해발1,500m 고산지대까지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소형 수지상지의류로 회녹색 또는 진한 녹색을 띤다. 여러 개체가 군집을 이루어 자라.. 2021. 6. 12.
분말창끝사슴지의,갈래뿔사슴지의,산나무지의 2021. 5 . 30 .. 반야봉 .. ~ 분말창끝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47) 저지대부터 해발 1,600m 사이 고산지역의 토양이나 이끼 위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다. 지의체는 녹색 또는 연한녹색을 띠며, 기본 엽체는잘 발달하여 대형이다. 비늘소엽에서 자병이 잘 발달하고 우스닌산(usnic acid)을 포함해 노란색을 띤다." "착생기물은 수피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의 끝은 뾰쪽하고 드물게 컵을 형성한다. 자병의 기저부를 제외한 전면에 가루모양 분아가 풍부하다." ~ 갈래뿔사슴지의 ≫ 넓은잎사슴지의 ~ ~ 산나무지의 ~ ~ 산나무지의 류 중 '산나무지의' 인지 '큰키나무지의', '중키산나무지의'는 아직도 어렵다.. 2021. 6. 3.
갯바위탱자나무지의, 주황단추지의 2021 . 5 . 19 .. 해남 바닷가 .. ~ 갯바위탱자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44) 해안가 저지대에 분포하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로 연한 녹색을 띤다. 열편의 납작하며 폭이 비교적 넓은 편(2mm이상)이다. 분아는 없으며 분지되지 않는다." ~ 도감상에 분지가 되지 않는다 했는데 이쪽 아이들은 벨라 많이 분지가 된다. ~ "작은머위탱자나무지의"와 비교를 하여도 그리 많이 분지하지 않고, "바위꽃탱자나무지의" 처럼 가양에 분아가 없다. ~ 주황단추지의 ~ " (지의류 생태도감 p224) 저지대에서 해발 1,600m고산지대까지 수피나 바위에 자라는 가상지의류로 회녹색 계열의 색깔을 띤다. 엽체의 가장자리가 연속적이거나 그렇지 않다. 단추지의( Caloplaca )속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2021. 5. 21.
꼬리사슴, 점붉은열매, 국화잎, 깔대기지의 2021 . 5 . 15 .. 암태도 .. ~ 갈래뿔사슴지의 ≫ 꼬리사슴지의 ~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며, 자병은 두 갈래로 분지되고 끝이 뽀쪽하며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자낭반은 드물게 볼 수 있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2021. 5. 18.
사슴뿔투구지의 외 2021 . 5 . 8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 사슴뿔투구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62) 해발 1000m 이상 고산지대의 바위나 나무의 이끼에 주로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엽상지의류로 진한 녹갈색을 띤다. 표면은 그물 모양으로 오목하게 굴곡이 진다." "▶외형적으로는 남빛투구지의(L. isidiosa)와 매우 유사하지만 정색반응(P-,K-)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 "지의체의 윗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난다. 그물망 모양의 선을 따라 원통형 열아가 잘 발달한다." ~ "지의체의 아랫면에는 그물망 모양의 선을 따라 진한 보라색 또는 검은색 토멘텀이 밀집해 발달한다." ~ 남빛투구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59) 해발 1000m 이상 고산지대에 있는 바위나 나무의 이끼에 주로.. 2021. 5. 12.
갯바위,바위꽃탱자나무지의 2021 . 5 . 7 .. 해남 바닷가.. ~ 갯바위탱자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44) 해안가 저지대에 분포하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로 연한 녹색을 띤다. 열편의 납작하며 폭이 비교적 넓은 편(2mm이상)이다. 분아는 없으며 분지되지 않는다." ~ 바위꽃탱자나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46) 저지대부터 해발1,600m 고지대까지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가장 흔한 종이다.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연한 회녹색을 띤다. 동일 제상체에서 분지한 여러 가지가 함께 뭉쳐 자라며 길이는 2cm 내외다. 열편의 폭은 비교적 넓은 편으로 지의체의 선단부에 분아가 발달한다." 2021. 5. 12.
높은봉우리탱자나무지의 2021 . 4 . 6 .. 주작산 .. "(지의류 생태도감 P138) 해안가 저지대에서 해발1,500m 고산지대까지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소형 수지상지의류로 회녹색 또는 진한 녹색을 띤다. 여러 개체가 군집을 이루어 자라며 지의체 표면에 군데군데 구멍이 나 있다. 엽체는 여러 가지로 분지되며 속은 비었고, 선단부는 바늘처럼 뾰쪽한 모양이다." "엽체는 손가락 모양의 원통형으로 표면에 구멍이 나 있고 속은 비었다." "선단부는 바늘처럼 뾰쪽하게 나와 있다." ~ 바위꽃탱자나무지의 ~ 2021. 4. 12.
가시묶음지의 2021 . 4 . 6 .. 주작산 .. "(지의류 생태도감 P46)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600m이상에 햇빛이 잘 드는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갈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가시덤불처럼 뾰쪽한 형태로 군집을 이루어 자란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가자기병의 아랫면에는 구멍이 많다." "자기병의 가운데는 빈 원통모양을 한다.끝부분은 뿔모양으로 두갈래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지되며 잘 부스러진다." 2021. 4. 12.
꼬리사슴지의,연꽃사슴지의 2021 . 3 . 31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며, 자병은 두 갈래로 분지되고 끝이 뽀쪽하며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자낭반은 드물게 볼 수 있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의 피층은 불연속적으로 발달하여 비늘 소엽이 없는 중간중간에 갈색이나 흰색 균사층이 노출된다. 뾰쪽한 자병의 끝에 알갱이 형태의 분아나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 연꽃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9) 해발 1000m 이상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위에 서식하는 .. 2021. 4. 3.
산나무지의 종류 2021 . 3 . 31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 꽃동무가 "악마의성냥개비"를 보았냐고 했을때 엄청 보고 싶었던 거라 무조건 보고 싶다라는 생각이 꼿혔다.. 근데 이상하게 "갓지의"가 '악마의성냥개비'에 투영 되었던 것이다.. 암만 산에 올라가서 머릿속 영상으로 "갓지의"를 떠올리며 '악마의성냥개비'를 찿아도 전혀 보이지 않아 혹시하는 마음에 산나무지의 사진을 보내고 인터넷 검색을 하니 "(가칭)악마의성냥개비"~ 산나무지의라 검색되어 나온다. 뭐하러 이름들을 즐비하게 걸어서 사람 정신을 흐리게 하는지 좋은 "산나무지의"가 뭐가 어떼서.... 아직은 젊은 청춘인데 입과 귀와 머리의 영상들이 따로따로 자기들 하고 싶은데로 움직임에 속이 상해서 하늘을 한번 쳐다 보고는 씁쓸해 하며 산나무지의류 종류.. 2021. 4. 2.
과립깔대기지의, 밤색국화잎지의 2021 . 3 . 5 .. 해남 황산 .. ~ 과립깔대기지의 ~ ~ 토양 위에서 자라는 "깔대기지의"와는 다르게 바위와 토양위에서 자란다.. ~ 밤색국화잎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128) 해발 1,000m 이하 저지대 바위에 느슨하게 착생하여 자라는 중소형 엽상지의류로 밝은 황록색을 띤다. 소엽은 일부만 겹치고 대부분 분리하여 생장한다. 가장자리에 검은색 테가 있고 끝은 둥글며, 열아가 있다. 아랫면은 진한 갈색이고, 갈색의 일자형 짧은 가근들이 잘 발달한다. 자낭반을 볼 수 없다." "착생기물은 바위다." "열아는 구형이나 원통형으로 단순하다. 정단부는 연한 회색이다." 2021.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