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래뿔사슴지의12 가시묶음지의 , 갈래뿔사슴지의 외 2025 . 4 . 08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갈래뿔사슴지의 ~꼬리사슴지의 ~~ 꼬리사슴지의 ~~ 넓은잎사슴지의 ~ ~ 뿔사슴지의 ~ 2025. 4. 19. 갈래뿔사슴지의 , 넓은잎사슴지의 2024 . 3 . 10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넓은잎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6) 중고산지대의 바위나 토양위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로 지의체는 녹색 또는 올리브녹색을 띤다. 지의체와 기본 엽체는 크고 넓게 잘 발달한다. 자병은 두 갈래나 여러 갈래로 분지 되며, 끝.. 2024. 4. 3. 갈래뿔 , 꼬리, 넓은잎, 덤불, 작은연꽃사슴지의 2024 . 3 . 2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 2024. 3. 12. 갈래뿔사슴지의 외 수지상지의 류 2024 . 1 . 21 .. 진도 접도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가지와 가지 사이가 넓게 분지된다. 표면에 흰색 수층이 군데군데 노출되며 작은 비늘 소엽이 드물게 발달한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 2024. 1. 23. 사슴지의 류 , 촛농지의 외 2023 . 3 . 15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무등 .. ~ 갈래뿔사슴지의 ~ ~ 넓은잎사슴지의 ~ ~ 작은연꽃사슴지의 ~ ~ 산호붉은열매지의 ~ ~ 점붉은열매지의 ~ ~ 과립매화나무지의 ~ ~ 촛농지의 ~ ~ 침지네이끼 ~ 2023. 3. 22. 사슴지의 종류들 2021 . 12 . 12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가지와 가지 사이가 넓게 분지된다. 표면에 흰색 수층이 군데군데 노출되며 작은 비늘 소엽이 드물게 발달한다."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2021. 12. 14. 분말창끝사슴지의,갈래뿔사슴지의,산나무지의 2021. 5 . 30 .. 반야봉 .. ~ 분말창끝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47) 저지대부터 해발 1,600m 사이 고산지역의 토양이나 이끼 위에서 자라는 소형 수지상지의류다. 지의체는 녹색 또는 연한녹색을 띠며, 기본 엽체는잘 발달하여 대형이다. 비늘소엽에서 자병이 잘 발달하고 우스닌산(usnic acid)을 포함해 노란색을 띤다." "착생기물은 수피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의 끝은 뾰쪽하고 드물게 컵을 형성한다. 자병의 기저부를 제외한 전면에 가루모양 분아가 풍부하다." ~ 갈래뿔사슴지의 ≫ 넓은잎사슴지의 ~ ~ 산나무지의 ~ ~ 산나무지의 류 중 '산나무지의' 인지 '큰키나무지의', '중키산나무지의'는 아직도 어렵다.. 2021. 6. 3. 꼬리사슴, 점붉은열매, 국화잎, 깔대기지의 2021 . 5 . 15 .. 암태도 .. ~ 갈래뿔사슴지의 ≫ 꼬리사슴지의 ~ ~ 꼬리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64) 해발 400~1800m 사이 저지대에서 고산지대까지 바위나 토양에 서식하는 흔한 소형 수지상 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있거나 없으며, 자병은 두 갈래로 분지되고 끝이 뽀쪽하며 갈색 분생자각이 발달한다. 자낭반은 드물게 볼 수 있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 갈래뿔사슴지의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2021. 5. 18. 갈래뿔사슴지의 2021 . 3 . 31 .. 참 좋은 우리집 뒷산 .. "(지의류 생태도감 P54) 저지대부터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걸쳐 바위 및 토양 위 이끼에 착생하여 자라는 중형 수지상지의류다. 건조시에는 진한 회녹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띤다. 기본 엽체는 드물게 긴 자병에 비늘소엽이 성기게 있다. 자병은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가지 사이가 넓어 전체적으로 성긴 형태를 이룬다. 자병의 끝은 뽀쪽한 편이다." "착생기물은 바위와 토양이다." "자병은 가지와 가지 사이가 넓게 분지된다. 표면에 흰색 수층이 군데군데 노출되며 작은 비늘 소엽이 드물게 발달한다." 2021. 4. 3. 갈래뿔사슴지의,사슴지의 외 2019. 3. 4.. 무등산.... 수지상지의류 .. ~ 갈래뿔사슴지의 ~ 가시가 무식하게 보이는것 같다.. ~ 위의 친구들을 다 같은 느낌으로 생각했는데 소엽의 부착 상태가 많이 달라서, 비늘소엽이 많은건 (꼬리사슴지의)로, 비늘소엽이 거짐 없는건 (갈래뿔사슴지의)로 구분해본다.. ~ 뿔사슴지의 ~ ~ 넓은잎사슴지의 ~ ~ 산나무지의 ~ ~ 큰키나무지의 ~ ~ 분말창끝사슴지의 ~ ~ 붉은열매지의(가칭 ~ ~ 후엽깔대기지의 ~와인잔 위에 또다시 깔대기의 컵이 형성된다.. 바로 위와는 특색이 다르다.. 2019. 3. 12. 수지상지의,사슴지의 종류 2019. 3. 4.. 무등산.... 수지상지의류들중 사슴지의와 닮은 동무들... ~ 분말창끝사슴지의 ~ 이름을 바꿔 보면서.. ~ 넓은잎사슴지의 ~ 분지하며 뽀쪽하거나 모자가있다.. ~ 작은연꽃사슴지의 ~.. ~ 갈래뿔사슴지의 ~ >> ~ 꼬리사슴지의 ~ 느낌이 더 든다.. ~ 꼬마붉은열매지의 ~ ~ 이름은 전문가의 의견이 없는 단순한 저 개인적으로 지의류 생태도감과 사이트를 찿아서 올린 이름으로 잘못된 이름이 올려진 경우가 있음으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2019. 3. 9. 비늘나무지의 외 2019. 2. 27. 완도.. 바위와 토양에서 자라는 수지상지의류 ~ ~ 비늘나무지의 ~ 나무지의와는 줄기의 돌기가 완전히 다르다.. ~ 수지상지의류 ~ 가지가 있는것과 없는거.. 줄기에 비늘이 있는거와 없는거.. 모자가 있는거와 없는거.. 상부에 컵이 있는거와 없는거, 컵의 크기와 컵 주둥이의 톱니같은 돌기의 유무도 앞으로 알아야할 길.... ~ 작은연꽃사슴지의 ~ ~ 연꽃사슴지의 ~ ~ 작은연꽃사슴지의에 비하여 소열편이 풍성하다.. ~ 과립작은깔대기지의 ~ 아래는 컵의 테두리가 깨끗하나 위의것은 모자와 돌기가 많이 심하게있다.. ~ 갈래뿔사슴지의 ~ ~ 이름은 전문가의 의견이 없는 단순한 저 개인적으로 지의류 생태도감과 사이트를 찿아서 올린 이름으로 잘못된 이름이 올려진 경우가 있음으로 조언 부탁드.. 2019. 3. 3. 이전 1 다음